백석 시인님의 시 '정문촌(旌門村)'을 만납니다. 시간의 물살 속에서 소외되는 우리네 삶을 돌아보게 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정문촌(旌門村)' 읽기
정문촌(旌門村)
백석(1912~1995, 평북 정주)
주홍칠이 날은 정문(旌門)이 하나 마을 어구에 있었다
「孝子盧迪之之旌門」 - 몬지가 겹겹이 앉은 목각(木刻)의 액(額)에
나는 열살이 넘도록 갈지자(字) 둘을 웃었다
아카시아꽃의 향기가 가득하니 꿀벌들이 많이 날아드는 아츰
구신은 없고 부헝이가 담벽을 띠쫗고 죽었다
기왓골에 배암이 푸르스름히 빛난 달밤이 있었다
아이들은 쪽재피 같이 먼 길을 돌았다
정문(旌門)집 가난이는 열다섯에
늙은 말군한테 시집을 갔겄다
▷백석 시집 「사슴」(1936년 오리지널 디자인, 도서출판 소와다리, 2016년) 중에서
2. 시간의 물살 속에 쇠락한 '정문(旌門) 집' 풍경들
시 제목 '정문촌(旌門村)'은 정문(旌門)이 있는 마을(村)을 뜻합니다.
'旌'은 기 '정'인데, 원래의 뜻은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로 주던 기'를 말하고, '나타내다' '밝히다'의 뜻이 있습니다.
이 시에서 '정문(旌門)'이란 조선시대 나라에서 충신이나 효자나 열녀 등을 표창하기 위해 그 집 앞이나 마을 어귀에 세워준 주홍색 문을 말합니다.
'주홍칠이 날은 정문(旌門)이 하나 마을 어구에 있었다'
주홍으로 칠해졌던 물감(칠)이 날아가버린(날은) 정문(旌門)이 하나 마을 어귀(어구)에 있었다고 합니다.
'정문이 하나'는 '정문 하나가' 보다 더 홀로 우뚝 서있는 어감을 주네요.
오래된 정문(旌門)이네요.
그동안 집안 대대로의 자랑이자 그 마을의 상징이던 정문(旌門)이 방치되어 있습니다.
색이 바랜 정문(旌門)을 다시 칠하지 않고 내버려 둔 걸 보면 이 정문(旌門) 집의 쇠락, 그리고 황폐해진 정문촌(旌門村)의 쓸쓸함이 선명하게 느껴지네요.
'「孝子盧迪之之旌門」 - 몬지가 겹겹이 앉은 목각(木刻)의 액(額)에 / 나는 열살이 넘도록 갈지자(字) 둘을 웃었다'
효자노적지지정문(孝子盧迪之之旌門). 먼지(몬지)가 겹겹이 앉은, 목각으로 된 현판(액)에 쓰인 글씨입니다.
노적지(盧迪之)라는 사람의 효성을 기리는 정문이네요.
이름이 '노적지(盧迪之)'인데 소유격으로 갈지(之) 자가 이어져 '지지(之之)'라는 두 글자가 도드라져 보입니다.
그래서 시인님은 '열 살이 넘도록 갈지자 둘을 웃었다'라고 하네요.
이 구절로 보아 정문은 시인님의 고향 정주에 있는 정문이고, 어릴 때 자주 그 앞을 지나다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열살이 넘도록 '지지(之之)'를 보며 왜 웃었을까요?
어린아이의 말로 '젖'을 이르는 '찌찌'가 자꾸 떠올라서였을까요?
어릴 때부터 어떤 사물이 주는 이미지에 열중하여 상상의 나래를 펴던, 천생(天生) 시인님이었네요.
이렇게 '정문'이 가진 의미는 잊히고, 먼지 쌓이고 낡은, 정문의 껍데기만 덩그러니 황량하게 남았네요.
'아카시아꽃의 향기가 가득하니 꿀벌들이 많이 날아드는 아츰 / 구신은 없고 부헝이가 담벽을 띠쫗고 죽었다'
기괴한 분위기입니다.
한쪽은 오뉴월 꽃과 꿀벌들의 약동하는 생명력, 한쪽은 구신과 부엉이의 죽음이 등장했네요.
'구신은 없고'. 백석 시인님에게 귀신(구신)은 공포의 존재가 아니라 일상을 함께하고 지켜주는 존재입니다.
시인님은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라는 시에 우리 주위에는 얼마나 구신이 많은 지 말하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 시인님은 '방안에는 성주님' '토방에는 디운구신' '부뜨막에 조앙님' '시렁에 데석님' '굴통에는 굴대장군' 등 생활공간의 곳곳에 구신이 있다고 했습니다.
심지어 '발 뒤축에는 오나가나 묻어 다니는 달걀 구신'이 있다고 했을 정도입니다.
그렇게 일상을 작동시켜 주는 귀신이 정문집에는 없다고 하네요. 귀신이 없다는 시인님의 말은 의미심장한 말입니다.
그것은 정문집의 삶이 정상적으로 흘러가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부엉이는 야행성입니다. 그래서 밤에는 예민한 시각과 청각으로 먹잇감을 사냥하지만 낮에는 거의 보지 못합니다.
낮에 잠을 자던 부엉이가 어떤 소리에 놀라 갑자기 날다가 담벽에 부딪혀(띠쫗고) 죽게 되었을까요?
쇠락한 정문집에 부엉이의 죽음으로 인해 어떤 불길함마저 엄습하는 것만 같습니다.
'기왓골에 배암이 푸르스름히 빛난 달밤이 있었다 / 아이들은 쪽재피 같이 먼 길을 돌았다'
기왓골은 기와지붕의 기왓고랑을 뜻합니다. 거기에 뱀(배암)이 푸르스름히 빛났다고 하네요.
정문집을 지키던 '지킴이'였을까요? 옛날에는 뱀이 집안의 살림을 지켜준다는 속설이 있었습니다.
좀처럼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지킴이'가 달밤에 지붕 위에 올라가 있는 모습도 일상적이지 않는, 이상한 징조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그 흉가 같은 정문집 근처를 얼씬하지 못하고 먼 길을 돌아갔다고 하네요.
'쪽재피 같이'. 족제비(쪽재피)는 꼬리가 기다랗습니다.
꼬리를 길게 늘어뜨리고 걸어가는 족제비의 모습에서, 숨을 죽이며 살금살금 걸어가는 아이들의 뒷모습이 보이는 것만 같네요.
'부엉이'와 '뱀' 같은, 늘 제자리를 지키며 일상을 굴려가던 '부분'들이 이탈하여 삶이 헐거워져 삐걱거리고 삭막해지는 분위기입니다.
3. 근대화과정에서 무너진 공동체적 삶, 소외된 사람들의 고독
'정문(旌門) 집 가난이는 열다섯에 / 늙은 말군한테 시집을 갔겄다'
나라에서 정문을 하사 받을 정도로 명문가이지만 후대에 와서는 가난으로 무너져 내린 정문집입니다.
그 집 '가난이'가 열다섯이라는 어린 나이에 늙은 말꾼(말군)한테 시집을 갔다고 합니다.
말꾼은 말로 짐을 실어 나르며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돈을 버는 사람, 돈이 있는 사람이네요.
정문집의 어린 딸 '가난이'는 몰락한 집안에 도움이 되기 위해 늙은 말꾼에게 시집을 가야 했네요.
'시집을 갔겄다'
'시집을 갔겄다'는 다양한 뉘앙스를 풍기네요.
'시집을 갔다'라는 문장에서 느낄 수 없는, 기나긴 서사(敍事)가 '시집을 갔겄다'에서 느껴집니다.
시집을 갈 수밖에 없게 된 절박한 사정, 양반 규수가 말꾼에게 시집을 가고 나서 겪게 되는 기구(崎嶇)한 사연들 말입니다.
'주홍칠이 날은 정문', '구신의 부재', '부엉이의 죽음' '기왓골에 자신을 드러낸 뱀' '말꾼에게 시집가는 몰락한 양반집 규수' ···.
이런 상징들은 이 '정문촌(旌門村)'이, 함께 어울려 우주의 기운 속에서 살아가던 공동체적 삶의 공간이 더 이상 아니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우리네 공동체적 삶은 무너져 이렇게 형해화(形骸化)되고 말았네요.
시인님은 그 시간의 단면을 이처럼 몰락한 '정문(旌門) 집'의 사연을 통해 생생히 보여주고 있네요.
그 급격한 시대 변화의 낯선 바람 속에서 사람들은 점점 소외되고, 그 삶은 점점 황폐화되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날이라고 달라졌을까요? 그 소외와 황폐함, 그대는 다 괜찮은지요?
초스피드로 흘러가는 지식정보화사회 속에서 우리 하루에 열두 번도 더 소외되고 있지 않은지요?
이 시를 읽으니 그런 우리도 말꾼에게 시집을 가게 된 '가난이'이라도 된 듯 외롭고 쓸쓸해지네요.
글 읽고 마음 목욕하는 블로그 '독서목욕'에서 백석 시인님의 시를 더 만나 보세요.
'읽고 쓰고 스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천명 시 푸른 오월 계절의 여왕 (132) | 2024.05.08 |
---|---|
김동환 시 웃은 죄 (123) | 2024.05.07 |
윤석중 동요 어린이날 노래 (137) | 2024.05.03 |
변영로 시 논개 (137) | 2024.05.02 |
프랜시스 잠 시 식당 (128)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