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92

다큐 어른 김장하 그리고 문형배 이야기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를 만나 봅니다. 지금 '나'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자꾸만 물어오는, 가슴 찡한 다큐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 소개 도대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등대가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 같은 시간일 때가 있습니다. 빗방울이네의 그런 시간, 넷플릭스에서 「어른 김장하」(감독 김현지)를 만났습니다. MBC경남이 제작해 2023년 11월 개봉한 다큐멘터리인데 1, 2편 합쳐 105분짜리입니다. 다큐의 주인공은 경남 진주에서 60여년 동안 '남성당 한약방'을 경영한 한약사 김장하(81세) 어른입니다. 경남지역에서 32년 동안 기자로 활동한 김주완 기자의 취재 형식으로 김장하 어른의 삶을 우리에게 보여줍니.. 2025. 4. 11.
이선희 노래 라일락이 질 때 가사 단소 악보 이선희 가수님의 노래 '라일락이 질 때'를 만납니다. 사랑하는 이를 꼭 안고 사진 한 장 찍어두고 싶어지는 노래입니다. 함께 읽으며 부르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이선희 노래 '라일락이 질 때' 부르기 라일락이 질 때 이선희 작사 작곡 노래 안녕이라는 인사는 내게 단 한 번도 말하지 않았어도나는 느낌으로 알 수 있었지 이제 다시는 만날 수 없음을변해가는 너의 마음이 내게 날카로운 흔적을 남겨도 보고픈 건미련이 남아서일 거야이젠 내 품에서 벗어나고 있네 돌아보진 마(돌아보진 마)내가 안타까워서 혹시라도 눈길 주진 마생각하지도마(생각하지도마)또 다른 네 삶에서 나와 함께 했던 그 기억들을다시는 만질 수 없겠지 따스한 너의 체온을 변해가는 너의 마음이내게 날카로운 흔적을 남겨도 보고픈 건미련.. 2025. 4. 9.
논어 위정 4장 지학 이립 불혹 지천명 이순 종심소욕 불유구 「논어」 위정 편 제4장을 만납니다. 공자님은 15세, 30세, 40세, 50세, 60세, 70세라는 삶의 마디마다 어떤 시간이었을까요?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논어」 위정 편 제4장 읽기 子曰(자왈) 吾十有五而志于學(오십유오이지우학)하고三十而立(삼십이립)하고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하고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하고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하고七十而從心所欲(칠십이종심소욕)하야 不踰矩(불유구)라공자께서 말했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게 되었고서른 살에 독립하게 되었으며, 마흔 살에 망설임이 없게 되었고쉰 살에 천명을 알게 되었으며, 예순 살에 남의 말을 그냥 그대로 듣게 되었고일흔 살에 마음대로 해도 할 바를 넘어서지 않았다.▷「사람인가를 묻는 논어」(윤재근 지음, .. 2025. 4. 7.
목련 시 노래 박목월 4월의 노래 이형기 목련 양희은 하얀 목련 목련을 소재로 한 시와 노래 3편을 만나 봅니다. 봄날의 시인들은 목련에서 어떤 전언(傳言)을 들었을까요? 함께 읽으며 부르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목련 시, 박목월 시 '4월의 노래' 박목월 시인님(1916~1978년, 경주)의 시 '4월의 노래'의 한 구절을 만납니다. 목련꽃그늘 아래서 / 베르테르의 편지를 읽노라▷박목월 시 '4월의 노래' 중에서. 목련꽃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자동 발사되는 노래, 가곡 '4월의 노래'입니다. 박목월 시인님의 시에 김순애 작곡가님이 곡을 붙여 1953년 만들어진 노래입니다. 올해(2025년)로 72년 된 노래네요.  이 노래는 2절로 되어 있는데, 각 절의 첫 구절이 '목련꽃그늘 아래서'입니다. 그래서 봄날 목련꽃을 만나게 되면 그 목련나무 아래 .. 2025. 4. 4.
동백꽃 노래 시 송창식 선운사 이미자 동백 아가씨 김영랑 끝없는 강물이 동백꽃을 소재로 한 노래와 시 3편을 만납니다. 동백꽃을 보면서 가수와 시인들은 어떤 생각을 하였을까요?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동백꽃 노래, 송창식 노래 '선운사' 송창식 가수님(1947년~ , 인천)의 노래 '선운사'의 한 구절을 만납니다.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 바람 불어 설운 날에 말이에요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 송창식 노래 '선운사' 중에서. 전북 고창에 있는 선운사(禪雲寺)는 동백꽃으로 유명한 절입니다. 고요하고 경건한 절집에 붉디붉게 핀 동백꽃은 우리에게 무슨 말인가를 하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그 절 뒤란에 송이째 툭 툭 떨어진 뒹구는 그 붉디붉은 동백꽃을 보노라면 삶의 무상함마저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동백꽃 .. 2025.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