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읽고 쓰고 스미기643 Wham! Last Christmas 가사 해석 'Wham!'의 노래 'Last Christmas' 가사를 음미하면서 해석해 봅니다. 어떤 내용인지 잘 모르면서도 곡이 좋아 무조건 반복해서 들으며 어깨를 들썩였던 노래입니다. 자비와 사랑의 의미를 새겨보는 진지한 크리스마스 노래는 아닙니다. 가사를 들여다보니, 요즘 트렌드라고 하는 'Snowmanning'이라는 용어가 떠오르네요. 크리스마스 때 만난 관계가 날씨가 풀리면서 눈사람 녹듯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연말에 시작된 연애가 연초에 끝나는 짧은 만남을 말하네요. 영국의 인기 듀오 Wham!(왬!)이 1984년에 발표한 노래 'Last Christmas'에는 어떤 만남이 그려지고 있을까요? 가사의 진행 순서를 따라 모두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해석하며 음미해 봅니다. 1. 'I'll give it.. 2024. 12. 25. 김종길 시 성탄제 1955 김종길 시인님이 시 '성탄제(聖誕祭) 1955'를 만납니다. 성탄의 의미, 자비와 사랑의 의미를 새겨보게 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김종길 시 '성탄제(聖誕祭) 1955' 읽기 성탄제(聖誕祭) 1955 김종길(1926~2017, 경북 안동) 가슴에 눈물이 말랐듯이눈도 오지 않는 하늘 저무는 거리에 발걸음을 멈추고동(東)녘 하늘에 그 별을 찾아본다. 베드레햄은 먼 고장이미 숱한 이날이 거듭했건만 이제 나직이 귓가에 들리는 것은지친 낙타(駱駝)의 울음소린가? 황금(黃金)과 유향(乳香)과 몰약(沒藥)이 빈 손가방 속에 들었을 리 없어도 어디메 또다시 그런 탄생(誕生)이 있어추운 먼 길이라도 떠나고 싶은 마음 - 나의 마리아는때 묻은 무명옷을 걸치고 있어도 좋다. 호롱.. 2024. 12. 24. 김종길 시 성탄제 김종길 시인님의 시 '성탄제(聖誕祭)'를 만납니다. 아버지가 그리워지는 시입니다. 아버지의 사랑을 곰곰 생각하게 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김종길 시 '성탄제(聖誕祭)' 읽기 성탄제(聖誕祭) 김종길(1926~2017, 경북 안동) 어두운 방 안엔빠알간 숯불이 피고, 외로이 늙으신 할머니가애처로이 잦아드는 어린 목숨을 지키고 계시었다. 이윽고 눈 속을아버지가 약(藥)을 가지고 돌아오시었다. 아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 오신그 붉은 산수유(山茱萸) 열매 - 나는 한 마리 어린 짐생,젊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에열(熱)로 상기한 볼을 말없이 부비는 것이었다. 이따금 뒷문을 눈이 치고 있었다.그날밤이 어쩌면 성탄제(聖誕祭)의 밤이었을지도 모른다. 어느새 나도그때의 .. 2024. 12. 20. 박인희 노래 겨울 바다 가사 단소 악보 박인희 가수님의 노래 '겨울 바다'를 만납니다. 홀로 겨울 바다로 달려가고 싶어지는 노래입니다. 함께 읽으며 부르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박인희 노래 '겨울 바다' 가사 읽기 겨울 바다 박인희 노래, 박건호 작사, 이현섭 작곡 물새도 가버린 겨울 바다에 옛 모습 그리면서 홀로 왔어라그날의 진실마저 털어버리고굳어진 얼굴 위에 꿈은 사라져 가고떠날 수 없는 겨울 바다여바람은 차갑게 몰아쳐 와도추억은 내 가슴에 불을 피우네 그날의 진실마저 털어버리고굳어진 얼굴 위에 꿈을 사라져 가고떠날 수 없는 겨울 바다여바람은 차갑게 몰아쳐 와도추억은 내 가슴에 불을 피우네 ▷「박인희 히트전집」(지구레코드, 1989년, 애플뮤직) 중에서. 2. 노래 '겨울 바다' 가사 음미하기 박인희 가수님의 노래 '겨.. 2024. 12. 19. 논어 군자 식무구포 거무구안 민어사이신어언 취유도이정언 가위호학야이 논어 학이편 제14장을 만납니다. 행복한 삶으로 가는 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논어 학이편 제14장 읽기 子曰(자왈) 君子食無求飽(군자식무구포)며 居無求安(거무구안)하며敏於事而愼於言(민어사이신어언)이고就有道而正焉(취유도이정언)이면可謂好學也已(가위호학야기)니라 공자께서 말했다. 군자로서 배불리 먹기를 구하지 않고편히 살기를 구하지 않으며할 일을 미루지 않으면서 말은 신중하고도를 좇아서 바르게 한다면배우기를 좋아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인가를 묻는 논어」(윤재근 지음, 동학사, 2008년 3쇄) 중에서. 2. 자기 향상을 추구하는 이의 삶의 자세는? 첫 문장부터 만나봅니다. '君子食無求飽(군자식무구포)' '군자(君子)'가 주어로 등장하네요. 국어.. 2024. 12. 18. 이전 1 ··· 3 4 5 6 7 8 9 ··· 1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