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쓰고 스미기

백석 시 수라

by 빗방울이네 2024. 1. 20.
반응형

백석 시인님의 시 '수라'를 만납니다. 속절없이 마음 착해지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수라' 읽기

 
수라(修羅)
 
- 백석(1912~1995, 평북 정주)
 
거미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모 생각 없이 문밖으로 쓸어버린다
차디찬 밤이다
 
어니젠가 새끼거미 쓸려나간 곳에 큰거미가 왔다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거미를 쓸어 문밖으로 버리며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어데서 좁쌀알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적은 새끼거미가 이번에 큰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미나 분명히 울고불고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어나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어 또 문밖으로 버리며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정본 백석 시집」(백석 지음, 고형진 엮음, 문학동네, 2007년 1쇄, 2019년 32쇄) 중에서

 

2. '거미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백석 시인님의 시 '수라(修羅)'는 1936년에 나온 시인님의 시집 「사슴」에 실려 처음 발표된 시입니다.
 
'수라(修羅)'는 '아수라(阿修羅)'의 준말인데, '아수라'는 산스크리트어 'asur'의 음역(音譯)입니다. '아수라(asur)'는 고대 인도신화에 나오는 전신(戰神)입니다.
 
'아수라'와 '하늘'과의 싸움에서 누가 이기느냐에 따라 이 땅에 재앙과 평화가 온다고 합니다. 인간이 선행(善行)을 할수록 '하늘'의 힘이 강해져 '아수라'를 이기게 되어 풍요와 행복이, 반대로 인간이 악행을 하면 '아수라'가 '하늘'을 이겨 이 땅에 가난과 불행이 온다고 하네요. 결국 인간의 선행에 따라 그 성패가 좌우된다는 것입니다. 
 
시인님은 이 시에 '수라'라는 제목을 걸어두고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요? 
 
거미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린 것을 나는 아모 생각 없이 문밖으로 쓸어버린다 / 차디찬 밤이다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시인님은 첫 소절에서 '공중 곡예사'를 등장시켰네요. '거미새끼 하나 방바닥에 나란 것을'. 왜 '나린 것'이라고 했을까요? '내린 것'이라는 말인데요, 거미가 공중에서 '내려왔다'는 말입니다.

이전에 시골사람들은 방안에 거미와 함께 거주했습니다. 사람 눈을 피해 주로 방 천장에 거주하는 거미는 가끔씩 꽁무니에서 줄을 내어 방바닥으로 내려옵니다. 공중에서 직선으로 쭈욱 내려오는 거미는 용감무쌍한 곡예사인 것만 같습니다.
 
시인님은 그렇게 내려온 거미를 '문밖으로 쓸어버린다'라고 했네요. '아모 생각 없이' 말입니다. 그래도 거미를 해치지 않고 문밖으로 보내준 착한 시인님이네요. 밖은 '차디찬' 겨울밤이라고 합니다. '아모 생각 없이'라는 표현으로 보아 거미를 문밖으로 보내주는 일은 다반사(茶飯事)였던 것 같네요.
 
어니젠가 새끼거미 쓸여나간 곳에 큰거미가 왔다 /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나는 또 큰거미를 쓸어 문밖으로 버리며 / 찬 밖이라도 새끼 있는 데로 가라고 하며 서러워한다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그런데 이게 어찌된 일일까요? '거미새끼'를 쓸어내고 나니 '어니젠가(어느 사이엔가)' 그 자리에 '큰거미가 왔다'라고 합니다. 시인님은 직감합니다. 아, 아까 그 거미새끼의 어미구나! 그래서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라고 합니다.

시인님은 새끼를 만날 수 있도록 큰거미를 '문밖으로 버리며' '서러워한다'라고 하네요. 마치 시인님 자신이 '거미새끼'와 '큰거미'의 가족이라도 되는 듯 애틋하기만 하네요. 
 
그렇게 작은 거미의 일로 '나는 가슴이 짜릿한다' '서러워한다'라고 말하는 시인님입니다. 이 구절들을 음미하며 우리는 섬세하고 착한 시인님의 마음 속으로 스며드네요. 이 얼마나 다정한지요?
 

"울고불고할이작은것"-백석시'수라'중에서.
"울고 불고할 이 작은 것"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3.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이렇게 해서 아린 가슴이 싹기도 전이다 / 어데서 좁쌀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한 무척 적은 새끼거미가 이번에 큰거미 없어진 곳으로 와서 아물거린다 /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그런데요, 이게 또 무슨 일인가요? 이번에는 '아린 가슴이 싹기도(가라앉기도) 전'에 '무척 적은 새끼거미'가 나타났네요! 그래서 시인님은 '나는 가슴이 메이는 듯하다'라고 합니다. 이렇게 작은 생명을 불쌍히 여기는 시인님의 마음은 얼마나 사랑과 정이 깊은 자애로운 마음인지요.
 
그런데요, '새끼거미'를 우리에게 그려보여주는 시인님의 마음 좀 보셔요.
 
'좁쌀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가제'는 '갓' '방금'이라는 뜻의 평안도 방언입니다. 얼마나 자그마한 '새끼거미'인지 눈에 다 보이는 것만 같네요. '발이 채 서지도 못한'. 그 자그마한 '새끼거미'가 얼마나 '가제' 깨였는지 아직 잘 걷지도 못하는 갓난이라는 것도 눈에 다 보이는 것만 같네요.
 
이 구절을 자꾸 읽으면 마치 우리가 '좁쌀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발이 채 서지도 못하는 무척 적은 새끼거미가' 된 듯 다리가 휘청거리고 온몸이 사물거리는 느낌을 받습니다.
 
내 손에 오르기라도 하라고 나는 손을 내어미나 분명히 울고불고할 이 작은 것은 나를 무서우이 달어나버리며 나를 서럽게 한다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이번에는 손을 내밉니다. 손에다 올려 '큰거미' '거미새끼'가 있는 밖으로 보내주려고요. 그러나 이 '좁쌀만한 알에서 가제 깨인 듯한' 간난이 거미는 나를 무서워하며 달아나버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럽다고 합니다. 시인님이 느끼는 지경의 그 서러운 마음이 되어보려 우리는 마음을 조이고 또 조여 보게 되네요. 
 
'분명히 울고불고할 이 작은 것'. 이 이야기는 인간이 아니라 거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작고 작은 생명요. 이런 묘사는 시인님이 작은 거미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고는 쓸 수 없는 구절일 것입니다. 생명은 비록 그것이 작고 작은 것일지라도 하나의 우주를 품고 있는 생명 아니겠는지요. 생명에 대한 시인님의 배려와 연민을 생각합니다.
 
나는 이 작은 것을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어 또 문밖으로 버리며 /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쉬이 만나기나 했으면 좋으련만 하고 슬퍼한다

- 백석 시 '수라' 중에서

 
참으로 시인님의 자애로움은 갈수록 태산이네요. '고이 보드러운 종이에 받어'. '이 작은 것'을 '또 문밖으로' 버리는데 그 버리는 방법 좀 보셔요.

아무 종이가 아니라 '보드러운 종이에' 받는다고 합니다. 또 아무렇게나 문밖으로 버리는 것이 아니라 '고이' 버린다고 하네요. 행여나 이 '가제 깨인' 것이 다칠세라 아주 조심해서 행동하는 시인님의 거동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듯하네요.   
 
'이것의 엄마와 누나나 형이 가까이 이것의 걱정을 하며 있다가'. 시인님은 진짜 거미 가족(!)인 것만 같습니다. 타자와의 교감과 공감 같은 정서적 감응 없이 이런 '걱정'을 할 수 있을까요?
 
거미에게 이러했으니 다른 이에게는 어떠했겠는지요? 자벌레, 산꿩, 멧비둘기, 나귀, 닭, 까치, 망아지, 짝새, 개구리, 배암, 물총새···. 시인님의 시집에 빼곡히 등장하는 이들에게는 어떠했겠는지요? 
 
시인님의 시를 읽으니 마음이 씻겨져 하염없이 착해지는 것만 같습니다. 우리 이제 우연히 만난 거미를 어찌 '보드라운 종이'에 받아 문밖으로 '고이' 보내주지 않을 수 있겠는지요?
 
이 시의 제목은 '수라'입니다. 그래서 거미 가족의 이산(離散)이 아비규환의 아수라장이라는 점을 떠올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그러나 이 시의 제목이 아비규환의 '상황'을 말하는 '아수라장'이 아니라, 싸우기를 좋아하는 귀신을 지칭하는 '수라'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처마 끝에 명태를 말린다'로 시작되는 백석 시인님의 시 '멧새소리'에는 멧새가 나오지 않습니다. 멧새의 깃털도 나오지 않는 시의 제목이 '멧새소리'입니다. 이처럼 백석 시인님은 시의 제목에 매우 섬세한 상징을 숨겨두곤 합니다. 

 

이 글의 모두에서 우리의 선행(善行)이 '하늘'을 도와 불행의 전신(戰神) '수라'를 이길 수 있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시인님은 시 '수라'에서 불순물 하나 없는 순도 높은 선(善)의 지경(地境)을 보여주었습니다. '수라'라는 제목 아래에, 그 대척점에 인간 내면의 신성(神性)을 환하게 밝혀놓았습니다. 어느 쪽이 이기겠는지요? 우리의 마음 바탈이 이렇게 선(善)으로 환하다면 '수라'를 너끈히 이길 수 있지 않겠는지요? 
 
어느 글에서 읽은 문장이 떠오릅니다.
 
- 선(善)인가? 불선(不善)인가? 항상 선(善)을 향하는 마음!
 
글 읽고 마음 목욕하는 블로그 '독서목욕'에서 백석 시인님의 시를 더 만나 보세요.

 

백석 시 미명계

백석 시인님의 시 '미명계'를 만납니다. 어둑새벽에 일어나 시장 언저리를 아주 천천히 걸어보고 싶어지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미명계' 읽기

interestingtopicofconversation.tistory.com

 

반응형

'읽고 쓰고 스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동규 시 기항지 1  (121) 2024.01.22
조용필 노래 들꽃  (127) 2024.01.21
김남조 시 겨울 바다  (116) 2024.01.19
국선도 오공법 사세  (108) 2024.01.18
막현호은 막현호미  (114)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