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69

정현종 시 방문객 읽기 요즘 주위에 부쩍 이 시를 인용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어느 예식장에서 사회가 읽어주며 예식을 시작하기도 하고, 강연에서 강연자가 인용하기도 하고, 라디오 진행자가 읊어주기도 합니다. 정현종 시인의 '방문객'이라는 시입니다. 사람을 만나기 전에 읽으면 좋은 시입니다. 오늘은 이 시를 함께 읽으며 마음목욕을 했으면 합니다.1. 사람을 만난다는 것의 의미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만난다는 것의 의미를 이 시처럼 간략하고도 절절하게 노래해 준 시는 드물 것입니다. 먼저 천천히 음미하며 함께 읽어보시죠.방문객- 정현종사람이 온다는 건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그는 그의 과거와현재와 그리고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부서지기 쉬운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마음이 오는 것이다 - 그 갈피를.. 2023. 1. 12.
백석 레시피 - 가자미 우리가 사랑하는 백석 시인은 가자미를 사랑한 시인입니다. 그는 1936년과 1937년 수필과 시에서 잇따라 가자미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그의 글을 따라 가자미를 읽으며 먹으며 마음목욕을 해볼까 합니다.1. 가자미를 사랑한 시인 백석백석 시인은 1936년 신문에 '가자미·나귀'라는 참으로 아름다운 수필을 발표합니다. 이 수필의 일부를 함께 읽어보시죠. '동해 가까운 거리로 와서 나는 가재미와 가장 친하다. 광어, 문어, 고등어, 평메, 횃대 ... 생선이 많지만 모두 한두 끼에 나를 물리게 하고 만다. 그저 한없이 착하고 정다운 가재미만이 흰밥과 빨간 고추장과 함께 가난하고 쓸쓸한 내 상에 한 끼도 빠지지 않고 오른다.'- 「백석전집」(김재용 엮음, 실천문학사) 중에서그는 이어 1937년에는 '선우사(膳.. 2023. 1. 12.
부산 명소 - 자갈치시장 오늘 퇴근길에 어디 가실 예정인지요? 저마다 추억이 어린 곳은 다 다르지만 오늘은 자갈치로 가보는 건 어떨까요? 자갈치를 소재로 한 시 한 편을 가슴에 품고 우리 자갈치로 가서 마음 목욕을 해보십시다. 1. 사람들은 자갈치에 왜 갈까?부산의 상징적 공간으로 해운대, 광안리와 함께 자갈치가 빠질 수 없습니다. 자갈치시장은 우리나라 최대 수산물 시장이기도 합니다. 자갈치시장 구호는 '오이소 보이소 사이소'인데, 정다운 자갈치 아지매들이 우리를 부르는 것만 같습니다.자갈치시장은 부산 중구 남포동(영도대교)과 서구 충무동(공동어시장) 사이를 잇는 시장을 말합니다. 부산도시철도 1호선 남포동역이나, 자갈치역에 내려 지하도를 빠져나오면 불쑥 코앞에 자갈치시장이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자갈치시장 주위에는 영도대교, .. 2023. 1. 11.
김형석 교수 올바르게 사는 길 스마트폰의 사진첩을 뒤적이다가 오래된 사인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올해 104세 철학자 김형석 연세대 명예교수님께 받은 친필 사인입니다. 김형석 교수님은 뭐라고 쓰셨을까요? 어떻게 살아라고 하셨을까요?1. 김형석 교수님의 사인에 대하여김형석 교수님은 2017년 어느 대학의 새벽 특강에서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습니다. 저도 그 자리에 있었는데 눈빛은 다정했고 말소리는 맑고 또렷했습니다.교수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좌중의 누군가가 물었습니다. 김형석 교수님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100년 가까이 살아보니(현재는 104세) 더불어 사는 것이 인생을 가장 올바르게 사는 길이라는 것을 느낍니다."그러면서 교수님은 생각과 행동을 크고 넓게 하라고 하셨습니다. 자기와 자기 집안 일만 생각하고 살면 그 좁은.. 2023. 1. 10.
가마야 프리미엄 수제어묵 이야기 혹시 스승으로부터 명절 선물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이 글은 스승으로부터 받은 선물에 대한 이야기, 스승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제자에게 명절 선물을 보내주신 스승은 두꺼운 책인 것만 같습니다. 그 책의 한 페이지를 읽으며 우리 함께 마음 목욕을 하십시다. 1. 특별한 어묵이 도착하다 저녁에 아이스박스 하나가 집 앞에 와 있었습니다. 택배로 온 스승의 명절 선물이었습니다. 지난달 중순 저는 코로나19에 걸려 격리 해제 이후에도 계속되는 기침의 터널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 사이 스승님과 통화를 했었는데 기침 때문에 통화가 힘들 정도였습니다.  무엇을 보내신 걸까요?  열어보니 어묵이었습니다. '가마야'라는 어묵제조회사의 '프리미엄 수제어묵'이라는 상품이었습니다. 이 어묵은 저도 잘 아는 어묵입니.. 2023. 1. 9.
부산 맛집 - 남구 길목식당 대구뽈찜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음식을 소개합니다.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음식이라는 말은 이 집 말고는 이런 맛을 내는 집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책 읽고 마음 목욕하는 것처럼, 이 별미를 먹고 나면 몸과 마음을 동시에 시원하게 또는 후끈하게 '목욕'한 느낌을 갖게 됩니다. 함께 가보시죠.1. 대연동 40년 맛 대구뽈찜부산 남구 대연동에 있는 '길목식당'이라는 곳입니다. 대연동에서 40년 동안 대구뽈찜 요리를 내고 있는 집입니다. 주인 할머니가 직접 만드십니다. 할머니는 자신의 주방을 다른 이에게 맡기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만큼 할머니의 고집과 노하우가 느껴지는 집입니다. 저는 오래 전부터 직장 동료들과 점심으로 이 집에서 대구뽈찜을 먹곤 했습니다. 이 집은 현지인들의 맛집이었는데, 배우 조진웅 씨가 이 집에.. 2023. 1. 8.
정호승 시 '수선화에게' 수선화가 없는 이유 외로움에 대한 시를 읽으려 합니다. 외로움에 대한 시이지만, 읽는 이의 외로움을 가만히 어루만져주는 시입니다.  외로움도 함께 하면 마음 목욕이 된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시입니다. 우리 함께 모락모락 외로움의 수증기가 피어오르는 시에 마음을 푹 담가보십시다. 1. 외로움을 달래주는 시  외로움을 달래주는 시, 바로 정호승 시인의 '수선화에게'입니다. 이 시에는 외롭다는 말이 여러 번 나옵니다. 헤어보니 무려 일곱 번이나 나옵니다. 그런데 그 외로움을 따라가다 보면 신기하게도 외로움이 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천천히 함께 읽겠습니다. 수선화에게 - 정호승 울지 마라외로우니까 사람이다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비가 오면 빗길.. 2023. 1. 8.
부산 명소 - 남구 이기대 오늘은 부산 남구 이기대를 함께 걸어보실까요? 저마다 사연이 다르고 감성도 다르겠지요? 한적한 숲길을 홀로 걸을 때 당신은 무슨 생각을 하시는지요? 이기대를 소재로 한 시 한 편에 마음을 담그고 당신과 함께 이기대로 가서 마음 목욕을 해보려합니다. 1. 탄성 부르는 '이기대해안산책로'를 가다이기대는 부산 남구 용호동에 있습니다. 장산봉(높이 225.3m)의 동쪽 바닷가에 있는 바위 절벽의 높은 대(臺)를 말합니다. 오늘은 이 이기대가 품고 있는 '이기대해안산책로'로 가보려고 합니다.'이기대해안산책로'는 오륙도 선착장에서 농바위를 거쳐 어울마당을 지나 동생말까지 모두 4.7km로 이어져 있습니다. 이 해안산책로는 기암괴석의 아찔한 절벽과 무성한 숲, 호수 같이 펼쳐지는 바다의 비경이 서로 숨박꼭질 하듯 눈.. 2023. 1. 7.
월든 - 옷에 대하여 요즘 어떤 옷을 입으십니까? 그 옷은 어떻게 사게 되었습니까? 옷을 살 때 어떤 기준으로 구입하십니까? 옷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입니까? 이런 몇 가지 질문을 가지고 '월든'을 읽으며 함께 마음 목욕을 해 볼까 합니다.1. 성철 큰스님의 누더기 이야기지금 성철 큰스님의 사진을 보고 있습니다. 큰스님은 '백련암(白蓮庵)'이라는 현판이 걸린 큰 문 앞에 서 있습니다. 검은 색의 헐렁한 비니를 머리에 쓰고 뒷짐을 지고 있습니다. 그런데요, 큰스님이 걸친 두루마기를 보세요. 여기저기 깁고 천을 덧댄 자국이 많고, 더 이상 기울 데가 없을 정도의 누더기입니다. 천이 다 닳아서 구멍이 숭숭 뚫려 곧 흘러내릴 것만 같습니다. 그렇지만 큰스님은 아이처럼 해맑은 표정입니다.큰스님은 이 두루마기 한 벌로 평생을 사셨다고 .. 2023. 1. 6.
모비딕 - 정신은 외면에 나타나는 법 무언가 좁은 틀에 갇혀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허먼 멜빌의 장편소설 ‘모비딕’을 읽을 때입니다. ‘모비딕’은 우리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걸까요? 우리는 거기서 어떤 삶의 비의(秘義)를 읽어낼 수 있을까요? 24만 단어에 이르는 방대한 소설 ‘모비딕’의 바다를 모비딕과 함께 항해하면서 마음 목욕을 하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1. 이스마엘, 퀴퀘그를 만나다‘모비딕’의 영문 표기는 ‘MOBY DICK’입니다. '거대한 녀석'이라는 의미입니다. 그 거대한 녀석이 흰 고래라서 ‘백경(白鯨)’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소설의 구조는 이스마엘이라고 불리는 한 청년의 포경선 승선 체험기 형식입니다. 모비딕을 잡으려는 광기 어린 집념의 소유자인 선장 에이허브를 비롯한 선원들이 종국에는 모비딕에 의해 배가 침몰해 모두 죽.. 2023. 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