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읽고 쓰고 스미기

백석 시 절간의 소 이야기

by 빗방울이네 2024. 4. 4.
반응형

백석 시인님의 시 '절간의 소 이야기'를 만납니다. 우리가 날마다 먹고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절간의 소 이야기' 읽기

 
절간의 소 이야기
 
백석(1912~1995, 평북 정주)
 
병이 들면 풀밭으로 가서 풀을 뜯는 소는 人間보다 靈해서 열거름 안에 제병을 낳게 할 藥이 있는 줄을 안다고
 
首陽山의 어늬 오래된 절에서 七十이 넘은 로장은 이런 이야기를 하며 치마자락의 山나물을 추었다
 

▷백석 시집 「사슴」(1936년 오리지널 디자인, 도서출판 소와다리, 2016년) 중에서

 

2. 두줄짜리 시에 들어있는 삶의 비의(秘意)는?

 
'절간의 소 이야기'는 '비' '노루'와 함께 백석 시인님의 시집 「사슴」에 나오는 2행짜리 시 3편 중 하나입니다. 
 
이 두 줄짜리 짧은 시, 그러나 각 행이 기다란 시에는 어떤 삶의 비의(秘意)가 들어 있을까요? 
 
'병이 들면 풀밭으로 가서 풀을 뜯는 소는 人間보다 靈해서 열거름 안에 제병을 낳게 할 藥이 있는 줄을 안다고'
 
시 한 줄이 이렇게 기네요.
 
이 첫행을 주욱 읽어나가다 보면, 소가 터벅터벅 풀밭으로 걸어가서 머리를 숙이고 풀을 뜯는 풍면 속으로, 우리도 함께 쓱 들어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궁금해집니다. 소는 어떻게 제병을 낫게(낳게)할 약풀이 있는 줄 알게 될까?하고요.
 
이 구절을 읽고 빗방울이네는 문득 '괭이밥'이 떠올랐습니다.
 
길가 땅바닥에 붙어 작고 노란 꽃을 피우는 풀꽃요. 이파리는 꼭 작은 토끼풀처럼 생긴 풀입니다. 
 
괭이밥. 괭이는 고양이의 준말입니다. 그러니까 괭이밥은 고양이밥이라는 말이네요. 
 
고양이가 이 풀을 먹는 것을 보고 누군가 '고양이밥', '괭이밥'이라는 이름을 붙였겠지요?
 
생선을 사랑하는 고양이가 왜 풀을 먹을까요?
 
고양이가 배탈이 나면 뜯어먹는 풀이 이 괭이밥이라고 합니다.
 
고양이는 어떻게 괭이밥이 자기에게 약이 되는 줄 알까요?
 
어떻게 소는 열 걸음(열거름) 안에 제 병을 낫게(낳게)할 약이 있는 줄 알까요?
 
우리 인간이 찾아내지 못하는 것을 소나 고양이는 본능적으로 찾아낸다는 말이네요.
 
자기 몸에 이로움을 주는지 해로움을 주는지 그들은 알 수 있다는 말이네요.
 
'인간보다 영(靈)해서'. 참으로 이 같은 동물들의 능력은 신령스럽기 그지없는 것만 같습니다.
 
자연의 섭리는 이 얼마나 신묘(神妙)한지요? 
 

"제 병을 낫게 할" - 백석 시 '절간의 소 이야기' 중에서.

 

 

 

3. 그대는 그대에게 약이 되는 것을 알고 있나요?

 
'首陽山의 어늬 오래된 절에서 七十이 넘은 로장은 이런 이야기를 하며 치마자락의 山나물을 추었다'
 
이처럼 기다란 행의 외형은 '오래된 절', '칠십이 넘은 노장' '이런 이야기'라는 구절들의 뉘앙스를 더 깊이 느낄 수 있게 꾸며준다고 할까요?
 
'수양산(首陽山)'. 이 산은 황해도에 있는 해발 899미터의 산입니다. 
 
'노장(老長)'은 나이가 많고 덕행이 높은 스님을 말하고요.
 
'치마자락'. 이 구절로 인해 여승을 연상할 수도 있을 텐데, 여기서는 스님의 장삼자락으로 새깁니다.
 
'추었다'는 '추리다', '가리다', '갈라내다'의 뜻입니다. 막 캐온 산나물을 먹을 수 있도록 다듬었다, 즉 '추렸다'는 말이네요.
 
시인님은 어느 날 수양산의 오래된 절에 들렀다가 이 노장을 만났나 봅니다.
 
산나물을 추리던 노장의 말, 병든 소가 자기 병을 낫게 해 줄 약을 열 걸음 안에 찾는다는 말은 시인님에게 매우 신묘한 이야기였겠네요.
 
이 시의 '눈'은 무얼까요?
 
'인간보다 영(靈)해서'라는 구절이 우리를 빤히 바라보고 있네요.
 
첫 행에 등장한 이 구절에서 촉발된 진동이 이 시의 몸 전체를 울리고 있습니다.
 
소가 인간보다 신령(神靈)스럽다는 뜻의 이 말은 노장의 말입니다. 오래된 절간에서 수행해 온 칠십이 넘은 노장 스님의 말입니다.
 
'인간보다 영(靈)해서'. 이 구절에는 인간이 소보다 못하다는 뉘앙스가 강하게 풍깁니다.
 
이 구절은 노장의 입을 빌어 인간의 무지(無知)를 꾸짖는 것만 같네요.
 
한의학의 '8 체질론'에서는 사람의 8가지 체질에 따라 유익한 음식, 해로운 음식이 따로 있다고 합니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체질에 따라 독이 될 수 있다는 말은 얼마나 놀라운 말인지요!
 
소는 '인간보다 영靈해서' 자신에게 약이 되는지 독이 되는지 본능적으로 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인간은 어떤 것이 독이 되는지 약이 되는지 모르고 탐식한다고 뭐라 하는 것만 같네요.
 
그런데요, 이 시의 제목이 '절간의 소 이야기'입니다.
 
오래된 절간에는 소가 아니라 노장이 있었는데, 제목이 왜 '절간의 소 이야기'일까요?
 
'산나물을 추었다'. 이 구절에서 우리는 노장이 무얼 먹고 사는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철 따라 산이 키워주는 산나물, 산의 정기를 품은 산나물은 노장의 중요한 먹거리이자 몸을 지켜주는 약입니다. 
 
'절간의 소 이야기'.
 
이 제목을 다시 읽으면서 우리는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
 
열 걸음 안에 자신의 병을 치유해 줄 약을 아는 이가 소인지 노장인지, 산나물을 먹고사는 이가 노장인지 소인지를요.
 
소와 노장은 이렇게 겹쳐져 우리에게 같은 질문을 하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그대 몸에 약이 되는 게 무언지, 독이 되는 게 무언지 그대는 알고 있는가?라고요.
 
글 읽고 마음 목욕하는 블로그 '독서목욕'에서 백석 시인님의 시를 더 만나 보세요.

백석 시 노루

백석 시인님의 시 '노루'를 만납니다. 자연 속에서 자연의 힘을 믿고 의지하며 순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노루'

interestingtopicofconversatio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