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72

부산 맛집 서면 부광횟집 회정식 부산 맛집으로 서면에 있는 '부광횟집'의 회정식을 먹어봅니다. 점심 특선으로 나오는 회정식이 있습니다. 함께 읽으며 먹으며 몸과 마음을 돋워 보십시다. 1. 서면 '부광횟집' 소개 '부광횟집'(부산 부산진구 서면문화로 24-1)은 서면 영광도서 근처에 있는 횟집입니다. 30년 가까이 된 집이라고 하는데요, 점심특선으로 나오는 회정식이 수수한 집입니다. 빗방울이네도 오래전 은사님을 따라와서 점심특선을 먹고 난 뒤 가끔씩 들리는 집입니다. 서면에서 식사 약속을 잡을 때 무난한 집입니다. 방에 테이블이 4개 있었는데, 그런 방이 여러 개 있습니다. 그래서 음식을 먹는 공간이 조용해서 편안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바로 그 점이 이 집의 장점일 수 있겠습니다. 메뉴판을 볼까요? 식사류로는 점심특선(15,000원.. 2024. 9. 20.
논어 문장 신종추원 민덕 귀후의 논어 학이편 제9장을 만납니다. 삶과 죽음에 대해, 죽음은 단절이 아니라 연결이라는 점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문장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논어 학이편 제9장 읽기 曾子曰(증자왈) 愼終追遠(신종추원)이면 民德(민덕)이 歸厚矣(귀후의)라.증자가 말했다. 부모의 상을 신중히 모시고 선조의 영혼을 정성껏 추모하면백성의 덕성이 그만큼 두터워진다.▷「사람인가를 묻는 논어」(윤재근 지음, 동학사, 2008년 3쇄) 중에서. 논어에서 공자의 말씀을 일컬을 때는 그 문장이 '자왈(子曰)'로 시작합니다. 이 학이편 제8장은 앞의 제4장처럼 문장이 증자왈(曾子曰)로 시작하네요. 증자(曾子)는 공자의 제자인데 공자보다 46세 연하입니다. 중국 노나라의 유학자로 공자의 덕행과 사상을 조술(.. 2024. 9. 19.
가을 시 정현종 안부 최하림 가을날에는 안도현 공양 박재삼 울음이 타는 가을강 송찬호 가을 가을 시 5편을 만납니다. 가을이 무르익어가는 시간이면, 시인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지낼까요?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정현종 시 '안부', 상수리의 안부를 묻다 정현종 시인님(1939~, 서울)의 시 '안부'를 만나 봅니다. 나는 뒤를 돌아보았다 도토리나무 안부가 궁금해서 - 정현종 시 '안부' 중에서 골목길을 가다가, 산 오솔길을 가다가 뒤에서 툭 하고 떨어지는 도토리를 소리를 만난 적이 있지요? 그러면 그대는 어떻게 하나요? 시인님은 뒤를 돌아본다고 하네요. 그대도 뒤를 돌아보나요? 도토리가 떨어졌을 때 뒤를 돌아보는 사람, 뒤를 돌아보며 하늘로 뻗은 상수리나무를 쳐다보는 사람인가요? 자식 같은 도토리를 떨어뜨린 상수리나무의 심정이 궁금한 사람인가요? 시인님은 이 시를 .. 2024. 9. 18.
김수영 시 사령 김수영 시인님의 시 '사령(死靈)'을 만납니다. 현실의 안일을 넘어 자유를 추구하는 삶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김수영 시 '사령(死靈)' 읽기 사령(死靈) 김수영(1921~1968, 서울) ······ 활자는 반짝거리면서 하늘 아래에서 간간이 자유를 말하는데 나의 영(靈)은 죽어 있는 것이 아니냐 벗이여 그대의 말을 고개 숙이고 듣는 것이 그대는 마음에 들지 않겠지 마음에 들지 않아라 모두 다 마음에 들지 않아라 이 황혼도 저 돌벽 아래 잡초도 담장의 푸른 페인트빛도 저 고요함도 이 고요함도 그대의 정의도 우리들의 섬세도 행동이 죽음에서 나오는 이 욕된 교외에서는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마음에 들지 않아라 그대는 반짝거리면서 하늘 아래에서 간간.. 2024. 9. 17.
일취월장 뜻 유래 시경 문장 '일취월장(日就月將)'의 뜻과 유래를 만나봅니다. 하늘을 공경하는 마음에 대하여, 그리고 나날이 자신을 발전시키려는 끊임없는 노력에 대하여 생각하게 하는 문장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日就月將(일취월장)'의 뜻과 유래 '日就月將(일취월장)'은 '나날이 다달이 자라거나 발전함'이라는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日 : 날 일 就 : 나아갈 취 月 : 달 월 將 : 나아갈 장 이 문장은 오경(五經)의 하나인 「시경(詩經)」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시경(詩經)」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집으로 공자가 편찬했다고 전해집니다. 주나라 초부터 춘추시대 사이 시 311편이 '풍(風)', '아(雅)', '송(頌)'의 세부문으로 나뉘어 실려 있습니다. 그럼, '日就月將(일취월장)'은 어떤 시.. 2024.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