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불욕 물시어인 뜻
「논어」의 문장 '기소불욕(己所不慾) 물시어인(勿施於人)'을 만납니다. 공자가 애제자인 자공에게 좌우명으로 내려준 말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기소불욕(己所不慾) 물시어인(勿施於人)' 읽기 기소불욕(己所不慾) 물시어인(勿施於人) : 자기가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사람인가를 묻는 논어」(윤재근 지음, 동학사, 2004년 1쇄, 2008년 2쇄) 중에서 기소불욕(己所不慾): 자기 기(己), 바 소(所), 아닐 불(不), 하고자 할 욕(慾) : 자기(己)가 원하지 않는(不慾) 바(所)를, 물시어인(勿施於人): 말 물(勿), 베풀 시(施), 어조사 어(於), 사람 인(人) : 남에게(於人) 베풀지(施) 말라(勿). 이 문장에서 '시(施)'는 '베풀다'의 ..
2024. 2. 27.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