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시인님의 시 '쓸쓸한 길'을 만납니다. 어느 쓸쓸한 이의 죽음을 생각하면서 오늘의 우리네 삶을 생각하게 하는 시입니다. 함께 읽으며 마음을 맑히는 독서목욕을 하십시다.
1. 백석 시 '쓸쓸한 길' 읽기
쓸쓸한길
▷백석(1912~1995, 평북 정주)
거적장사하나 山뒤ㅅ녚비탈을올은다
아 - 딸으는사람도없시 쓸쓸한 쓸쓸한길이다
山가마귀만 울며날고
도젹개ㄴ가 개하나 어정어정따러간다
이스라치전이드나 머루전이드나
수리취 땅버들의 하이얀복이 서러웁다
뚜물같이 흐린날 東風이설렌다
▷백석 시집 「사슴」(1936년 초판본 오리지널 디자인, 도서출판 소와다리, 2016년) 중에서
2. 울어주는 이 없는 어느 쓸쓸한 장례식
백석 시인님의 시 '쓸쓸한 길'을 만납니다. 1936년 초판본 오리지널 디자인으로 출간된 시인님의 시집 「사슴」에서 원본 그대로 만나봅니다. 위의 시가 원본입니다. 띄어쓰기나 표기를 원본 그대로 옮겼습니다.
'거적장사하나 山뒤ㅅ녚비탈을올은다 / 아 - 딸으는사람도없시 쓸쓸한 쓸쓸한길이다'
'거적장사'. 이 단어의 뜻은 '널을 쓰지 않고 거적으로 송장을 싸서 지내는 장사'라고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장사(葬事), 장례 지내는 일 말입니다. 참으로 쓸쓸한 장례식이네요. 관(널)에 눕지도 못하고 거적(짚으로 짠 멍석)에 둘둘 말린 채 누군가의 지게에 얹혀 산비탈을 올라가고 있는 망자네요.
어떤 삶을 살아온 이였을까요? '따르는 사람도 없이' 쓸쓸히 간다고 합니다. 상주도 없이 울어주는 가족이나 친구나 이웃도 없이요. 망자의 생애는 참으로 고독한 시간이었겠네요.
'山가마귀만 울며날고 / 도젹개ㄴ가 개하나 어정어정따러간다'
주검을 맴돌며 까마귀가 까악 까악 울며 날고 있습니다. 까마귀는 이승과 저승을 이어주는 사자(使者)일까요? 저 울음은 망자의 혼을 저승으로 안내해 주는 울음일까요? 으스스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울음이네요.
'도젹개(도적개)'는 주인이 없는 개입니다. 돌봐줄 주인이 없는 '상갓집 개'가 떠오르네요. 여기저기서 천대받고 쫓겨나면서도 비굴하게 얻어먹으러 기어드는 가련한 신세입니다.
얼마나 굶주렸을까요? 배가 고파 무엇이라도 얻어먹을 것을 찾는 듯이 힘없이 어정어정 '거적장사' 지게를 따라가는 개, 초라하고 불쌍한 그 모습에서 '거적장사'의 쓸쓸함이 더욱 고조되는 것만 같습니다.
3. '이스라치전이드나 머루전이드나'는 무슨 뜻?
'이스라치전이드나 머루전이드나 / 수리취 땅버들의 하이얀복이 서러웁다'
'이스라치전이드나 머루전이드나'. 과연 이 구절은 무슨 의미일까요?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백석 시인님의 시 '적경(寂境)'의 한 구절을 읽습니다.
'신살구를 잘도먹드니 눈오는아츰'
여기 '먹드니'는 '먹더니'를 말합니다.
시인님의 다른 시 '통영(統營)'의 한 구절도 만납니다.
'山넘어로가는길 돌각담에 갸웃하는 처녀는 錦이라든이갓고'
여기 '錦이라든이갓고'는 '금(錦)이라던 이 같고'를 말합니다.
시인님은 시 '적경(寂境)'과 '통영(統營)'에서 '던'을 모두 '든'으로 표기하고 있네요.
시로 가는 길은 여러 갈래입니다. '독서목욕'은 그래서 '이스라치전이드나'도 '이스라치전이더나'로 읽습니다.
현대어로 옮기면 '이스라치전이더나 머루전이더나'가 됩니다.
그러니까 이 구절은 '이스라치전이던가 머루전이던가'하고 질문하는 구문으로 새깁니다.
이와 함께 이 구절에 포함되어 있는 '전'에 주목합니다.
'독서목욕'은 이 '전'을 전할 '전(傳)'으로 새깁니다. 어떤 사람의 행적을 기록하고 여기에 교훈적인 내용이나 비판을 덧붙인 글을 말합니다. '춘향전(春香傳)'과 '흥부전(興夫傳)'에도 이 '전(傳)'자가 붙어있습니다.
‘이스라치전(傳)’이더나? ‘머루전(傳)’이더나?
그러면 과연 이 질문은 어떤 질문일까요?
'이스라치'(산앵두)와 '머루'는 모두 산에 있습니다. 두 생명의 생애(傳)는 모두 아무도 없는 외진 곳에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던 이야기로 가득하겠네요.
마지막 가는 길에 따르는 이 없는 외로운 망자의 삶도 그랬을 것입니다.
'이스라치전(傳)이더나 머루전(傳)이더나'
이렇게 망자의 외로운 생애를 이스라치(산앵두)와 머루의 생애(傳)와 나란히 놓았네요. 인간과 산앵두와 머루를 말입니다. 이렇게 셋을 나란히 놓고 시인님은 망자의 삶이, 아니 우리 모두의 사는 이야기가 산앵두 같더냐 머루 같더냐라고 탄식조로 묻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셋 모두 자연 속에 태어나 자연의 일부로 살아가다 자연으로 돌아가는 생명입니다. 이 같은 생명의 본질은 원초적인 고독이기도 하겠습니다. 그래서 이 구절에서 시인님의 삶의 유한성에 대한 고독감, 그리고 동시에 이를 수용하고 감내하려는 자세가 진하게 느껴지네요.
'수리취 땅버들의 하이얀복이 서러웁다'
수리취와 땅버들에 하얀 솜털이 나는 시기는 꽃이 피기 전입니다. 그러니 이 시의 계절은 봄이네요. '하이얀 복'은 수리취와 땅버들에 난 하얀 솜털을 말하는 것일 텐데, 여기서 하이얀 옷, 즉 상복(소복)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렇게 인생의 허무를 헤아려가던 시인님의 서글픈 마음에 들어온 수리취와 땅버들의 '하이얀 복'이 와락 서러움을 안겨주었네요. 얼마나 여리고 여린 시선을 가진 시인님인지요.
'뚜물같이 흐린날 東風이설렌다'
뚜물(뜨물)은 쌀이나 보리를 씻고 난 뿌연 물을 말합니다. 부옇게 흐린 날이네요. 이렇게 날씨마저 '거적장사'의 불쌍한 넋이 가는 날의 슬픔을 더해주고 있네요.
'동풍이 설렌다'. 왜 ‘설렌다’라고 했을까요?
'설레다'는 좋아서 마음이 두근거리다는 의미로 많이 쓰입니다. 그러나 이 속에는 '가만히 있지 아니하고 자꾸만 움직이다, 물 따위가 설설 끓거나 일렁거리다'의 의미도 있습니다. 국어사전을 보니 '아이들이 너무 설레는 바람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거센 바람만이 거리와 골목을 설레면서 먼지를 뿌리고 있다' 등의 예문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동풍이 설렌다'는 차갑고 세찬 동풍이 이리저리 속절없이 불어 제치는 것을 말하네요. 이 바람에 더욱 쓸쓸하고 어수선하고 으스스한 분위기 속에 망자는 먼 길을 떠나고 있네요.
이토록 '쓸쓸한 길'이 우리네 삶의 마지막 길이네요. '거적장사'의 망자가 초라한 거적에 쌓였는지 좋은 관에 누웠는지 어찌 알겠는지요? 마지막 길은 누구라도 다 이렇게 '쓸쓸한 길'이어서, 시인님의 시 '쓸쓸한 길'은 죽음을 생각하면서 저마다 오늘의 삶을 돌아보게 하네요.
글 읽고 마음 목욕하는 블로그 '독서목욕'에서 백석 시인님의 시를 더 만나 보세요.
'읽고 쓰고 스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댄 봄비를 무척 좋아하나요 - 배따라기 이혜민 양현경 (100) | 2024.03.16 |
---|---|
김남조 시 그대 세월 (92) | 2024.03.15 |
국선도 오공법 당세 (110) | 2024.03.13 |
봄비 시 5편 시인들은 봄비를 어떻게 느낄까? (118) | 2024.03.11 |
변영로 시 봄비 비둘기 발목만 불키는 (123) | 2024.03.10 |